도메인이란 DNS의 모든 것
DNS (Domain Name System) 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1. DNS는 무엇이고 왜 쓰이는가?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IP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를 구분하는 식별자를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시스템 입니다.
본래의 IP 주소는 길고 숫자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외우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 하기위해서 만들어진 시스템 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www.123.456.78.90:54000 이라는 주소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다소 복잡한 ip 주소와 포트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해야 합니다.
또한 ip 주소만 보면 뚜렷하게 어떠한 사이트인지 구별조차 되지 않고
구별하기 힘든 이 주소를 DNS서버에 등록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주고 외우기 편리한 문자로 교환시켜 주는 것 입니다.
그리하여 위 주소를 도메인 서버에 등록하여 www.namoo.com 처럼 사용하는 것입니다.
2. 어떠한 구조로 되어 있는가?
도메인의 계층 구조
도메인의 계층 구조를 알아보겠습니다.
도메인의 계층 구조는 N단계로 이루어져 있고
www.namoo.co.kr 으로 예를 들겠습니다.
1차 도메인
1차 도메인은 최상위 도메인(Top-Level Domain) TLD 이라고 불리고
www.namoo.co.kr 마지막에 붙는 것을 가르킵니다.
또한 1차 도메인 같은 경우는 2가지로 분류가 가능한데
일반 최상위 도메인,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 분류 됩니다.
일반 최상위 도메인(generic Top-Level Domain) gTLD com, org 등등 존재하고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ountry code Top-Level Domain) ccTLD는 kr, jp, us 등등 존재합니다.
kr은 대한민국을 가르키고 jp는 일본 us는 미국 등등 각 국가마다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이 존재합니다.
2차 도메인
2차 도메인은 차상위 도메인(Second-Level Domain) SLD 이라고 불립니다.
이것또한 두가지의 분류로 나누면
일반 차상위 도메인(generic Second-Level Domain) gSLD 그리고
국가 코드 일반 차상위 도메인(country code Second-Level Domain) ccSLD가 있습니다.
www.namoo.co.kr 최상위 도메인 전에 쓰이고 도메인을 등록한 조직을 나타내고
종류로는 ac, go, co 등등 있고 ac는 교육기관 go는 정부기관, co는 영리 목적의 단체를 뜻합니다.
3차 도메인, 4차 도메인
도메인 서버에 등록하는 것에 따라서 불리는게 달라집니다.
첫번째로 주소가 www.namoo.com 이라면
com은 1차 도메인 namoo는 2차도메인 www는 3차 도메인 입니다.
두번째로 주소가 www.namoo.co.kr 이라면
kr은 1차 도메인 co는 2차 도메인 namoo는 3차 도메인 www는 4차 도메인 입니다.
DNS 서버의 구조
위에서는 도메인의 계층구조를 알아보았고 이제는 DNS 서버의 계층 구조를 알아보겠습니다.
DNS 서버는 콘텐츠 서버(content server)와 캐시서버(caching server) 두 종류로 되어 있습니다.
콘텐츠 서버는 모든 도메인명을 관리하는 큰 서버이고 캐시서버는 질의 응답을 하기 위해 존재하는 서버 입니다.
추가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처음 요청을 하면 캐시 서버에서 콘텐츠 서버를 가서 다시 캐시 서버에 온다음
사용자한테 응답을 해주게 됩니다. 캐시는 초기 요청을 기억하고 있으며 다음 요청때는 콘텐츠 서버에 가지않고 캐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 사용자한테 응답을 해주게 됩니다.
3. DNS 누구나 사용이 가능한가?
네, 도메인 등록기관에 신청하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대한민국의 도메인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계약을 한 등록기관에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등록기관은 카페24, 우비, 닷네임 등등 여러 곳이 존재합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 알아보자 (0) | 2022.08.31 |
---|---|
[네트워크] GET POST 차이점 방식 파헤치기 (HTTP method) (0) | 2022.08.24 |
댓글